<p></p><br /><br />탈북자들을 도와야 할 기관이 오히려 탈북자들을 불안에 떨게 하는 대형사고를 쳤습니다.<br> <br>무려 10년치 개인정보가 통째로 사라진 겁니다.<br> <br>기가 막힌 건 이 뿐만이 아닙니다.<br> <br>정보를 도둑맞았다면 수습이라도 잘해야 하는데 1년 반을 어영부영 보냈습니다.<br> <br>목숨 걸고 탈출한 사람들에게 어쩌면 이렇게 야속한 짓을 하는 걸까요.<br> <br>박수유 기자가 단독 보도합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강원 북부 하나센터가 탈북민 관련 자료가 담긴 외장 하드디스크를 분실한 것은 2020년 8월입니다. <br> <br>2010년 개소 이후 10년간 이 센터가 관리해온 탈북민 수백 명의 개인 정보와 상담자료, 센터의 사업자료 등이 담겨 있습니다. <br> <br>쉬쉬하던 센터는 사건 발생 1년 2개월 뒤인 지난해 10월 국회의 지적을 받고서야 수사기관에 신고할 뜻을 밝혔습니다. <br> <br>그러나 실제 경찰 신고는 그보다 3개월 뒤인 지난 달에야 이뤄졌습니다. <br> <br>사실상 사건 발생 후 1년 5개월 간 시간을 허비한 셈인데, 민감할 수 있는 탈북민 수백 명의 정보가 어디서 어떻게 누구에 의해 사용됐을지 전혀 알 수 없는 상황입니다. <br> <br>[김은덕 / 검사 출신 탈북민] <br>"언제 탈북해 한국 어디에 살면서 무슨 일을 하는지 북한에서 다 장악해요. 한국에서의 삶이 자유롭지 않고 공포를 느낍니다." <br><br>센터 업무 매뉴얼에는 보조저장매체 사용 시 잠금장치가 있는 곳에 보관하고 관리 대장도 작성하는 등 엄격히 관리토록 했지만, 관리 대장조차 제대로 적혀 있지 않는 등 평소 관리가 소홀했던 사실도 확인됐습니다.<br><br>1년 5개월 간 사건을 은폐한 것 아니냐는 지적에 대해 하나센터를 총괄하는 통일부는 "수사가 진행 중인 사안"이라며 <br>즉답을 피했습니다. <br><br>지난 2018년에는 경북 하나센터가 해킹을 당해 1000명에 가까운 탈북민 정보가 유출되는 등 하나센터의 보안 문제가 우려되는 상황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박수유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 김홍진 <br>영상편집 형새봄<br /><br /><br />박수유 기자 aporia@donga.com